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

    소개

    영화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의 이야기는 첫 어벤져스 영화의 뉴욕 사건 이후부터 시작됩니다. 이에 토니 스타크는 평화 유지를 위해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느끼고 울트론을 개발합니다. 그러나 지각력을 가지고 있는 울트론은 스스로 인간 세계에 대해 탐구하고, 자신을 개발한 토니 스타크의 의도와 다르게 인류를 평화에 대한 가장 큰 위협으로 결론짓게 됩니다. 울트론의 계획이 전개됨에 따라 이에 맞서기 위해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헐크, 블랙 위도우, 호크아이 등이 다시 뭉치게 되며, 어벤져스는 자신의 취약점에 맞서고 자신의 창작물이 갖는 윤리적 의미와 씨름해야 합니다.

    등장인물

    토니 스타크(아이언맨)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연기한 토니 스타크는 범죄에 맞서 싸우고 세상을 보호하기 위해 상징적인 아이언맨 슈트를 입은 억만장자 천재이자 자선가입니다. 영화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서 토니 스타크의 오만함은 인류를 보호하기 위한 인공 지능인 울트론을 만들도록 이끌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울트론의 반란으로 인해 토니 스타크는 자신의 행동의 결과와 자신의 취약점을 마주하게 됩니다.

    스티브 로저스(캡틴 아메리카)

    크리스 에반스가 연기한 캡틴 아메리카는 슈퍼 솔저이자 어벤져스의 리더입니다. 영화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서 스티브 로저스는 현대 세계에 적응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동시에 희망과 정의의 상징으로서의 역할과 씨름합니다. 팀 내에서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스티브 로저스는 리더십의 발휘하고 역경에 맞서 흔들리지 않는 도덕적 나침반을 지켜야 합니다.

    울트론

    제임스 스페이더가 목소리를 맡은 울트론은 토니 스타크와 브루스 배너가 만든 인공 지능이자 어벤져스가 싸워야 하는 영화의 악당입니다. 세계에 평화를 가져오기 위해 설계된 울트론은 지각력을 갖게 되어 평화를 이루는 유일한 방법은 인류를 근절하는 것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 지성, 카리스마, 강력한 로봇 하수인 군대를 갖춘 울트론은 어벤져스와 전 세계에 엄청난 위협을 가하고 있습니다.

    에트로 막시모프(퀵실버)와 완다 막시모프(스칼렛 위치)

    영화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서는 쌍둥이 남매 캐릭터인 피에트로 막시모프(퀵실버)와 완다 막시모프(스칼렛 위치)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에 강력한 새 캐릭터로 등장합니다. 애런 존슨이 연기한 피에트로 막시모프는 초인적인 속도를 가지고 있어 퀵실버라고 불립니다. 엘리자베스 올슨이 연기한 완다 막시모프는 염동력과 현실 왜곡 능력을 갖고 있어 스칼렛 위치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상대방의 정신을 지배 무기력하게 만들 수도 있고, 염력으로 주변 사물을 던져 적에게 공격을 가할 수도 있습니다. 두 남매는 전쟁으로 폐허가 된 소코비아의 고아 형제자매로 소개되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분쟁에서 자신들의 역할에 대해 토니 스타크와 어벤저스에 대해 깊은 분노를 품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울트론과 동조했지만, 피에트로와 완다는 울트론의 파괴적인 계획의 실제 규모를 깨닫고 결국 어벤저스와 힘을 합쳐 울트론과 함께 맞서게 됩니다.

    비하인드 스토리

    영화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울트론> 촬영 뒤에는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습니다. 조스 웨던 감독은 첫 번째 어벤져스 영화의 성공을 따라가야 한다는 압박감과 더 다양해진 출연진 내에서 스토리라인과 캐릭터의 균형을 맞추는 어려운 작업 등 제작 과정에서 수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전작 어벤져스에서 등장한 슈퍼히어로가 거의 다 나왔고 거기에 울트론, 비전, 퀵실버, 스칼렛 위치 등이 더해져 캐릭터 볼륨이 한층 더 거대해졌기 때문입니다. 조스 웨던과 출연진이 직면한 또 다른 과제는 역할에 대한 강렬한 신체적 요구였습니다. 많은 배우들이 액션이 가득한 장면을 준비하기 위해 무술 훈련, 스턴트 작업, 근력 조절 등 엄격한 훈련을 받았습니다. 특히 블랙 위도우 역을 맡은 스칼렛 요한슨은 자신이 맡은 역할에 대한 헌신과 캐릭터의 신체적 능력에 진정성을 부여하려는 헌신을 보여주며 많은 스턴트를 선보인 것으로 유명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