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 선거철만 되면 폭탄처럼 쏟아지는 전화·문자…

    선거 문자 전화 차단 방법(거부, 신고 가능)

    "○○후보입니다. 꼭 한 표 부탁드립니다." 선거철이 다가오면 누구나 한두 번쯤은 이런 전화를 받아보셨을 겁니다. 문자도 마찬가지입니다. "후보 공약 안내", "정책 홍보 영상 링크", "[Web발신] 긴급 안내" 등 읽지도 않은 문자들이 쏟아지곤 하죠.

     

    이런 전화와 문자는 대개 합법적인 선거운동의 일환으로 분류돼 완전히 막을 순 없지만, 수신 빈도를 줄이는 방법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이 글을 통해 홍보 전화와 문자에 지치신 분들께 꼭 필요한 실천 방법을 소개합니다. 휴대폰 설정부터 통신사 차단, 정부 서비스까지 총정리했으니 지금 바로 따라해보세요.

     

     

     

    💡 왜 선거철마다 이런 전화·문자가 늘어날까요?

    선거 문자 전화 차단 방법(거부, 신고 가능)

    국회의원 선거, 지방선거, 대통령 선거, 보궐선거 등 선거는 매년 어디선가 진행됩니다. 이때 후보자들은 공직선거법에 따라 전화나 문자로 자신의 공약과 출마 사실을 알릴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법적으로 허용된 홍보 수단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스팸처럼 통신사에서 강제 차단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설정을 미리 해두면 선거철 전화·문자 스트레스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통신사 통해 여론조사 전화 차단 신청하기

    선거 문자 전화 차단 방법(거부, 신고 가능)

    각 통신사에서는 여론조사 기관에 내 전화번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게 돕고 있습니다. 이 설정만 해도 홍보 전화 상당수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SKT 사용자 : 1547 전화 신청

    ▪️KT 사용자 : 080-999-1390

    ▪️LG U+ 사용자 : 080-855-0016

    ▪️알뜰폰 사용자 : 사용 중인 통신사의 번호로 동일하게 신청 가능

     

    또한, 각 통신사 앱(T월드, 마이KT, U+ 고객센터)에서도 ‘가상번호 제공 거부’ 메뉴를 찾아 설정할 수 있습니다.

    T월드(https://www.tworld.co.kr/)
    U+ 고객센터(https://www.lguplus.com/support)

     

     

     

    📱 스마트폰 기본 기능으로 문자·전화 차단하는 법

     

    ▶️ 문자 차단 문구 설정하기

    스마트폰에서 특정 문구가 포함된 문자를 자동으로 스팸 처리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갤럭시 사용자 : 메시지 앱 > 설정 > 차단 문구

    ▪️차단 추천 문구 : “후보”, “선거”, “공약”, “투표”, “[Web발신]”, “급등”, “로또”, “대출”

     

    이 설정만 해두면 선거 홍보 문자의 70% 이상은 자동으로 걸러집니다.

     

    ▶️ 모르는 전화 자동 음소거 설정

    ▪️아이폰 사용자 : 설정 > 전화 > ‘알 수 없는 발신자 음소거’ 활성화

    ▪️갤럭시 사용자 : 전화 앱 > 설정 > 수신 차단 > 번호 입력

     

    이 기능을 사용하면 연락처에 저장되지 않은 전화번호는 벨소리가 울리지 않습니다. 지인이 있을 수 있으니 자주 연락하는 분들 전화번호는 미리 저장해두는 게 좋습니다.

     

     

     

    🔒 두낫콜 서비스로 마케팅 전화 원천 차단

    선거 문자 전화 차단 방법(거부, 신고 가능)

    두낫콜(Do Not Call)은 정부(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원)가 운영하는 수신거부 등록 서비스입니다.

    한 번 등록하면 영업 목적의 홍보 전화 대부분을 2~4주 안에 차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보험, 카드, 부동산 등 불필요한 전화에 효과적입니다.

     

     

     

     

    🚫 스팸 문자나 사칭 링크, 이렇게 막으세요

    선거 문자 전화 차단 방법(거부, 신고 가능)

    요즘은 후보자 사칭 문자나 ‘정부지원금 신청’ 등의 가짜 링크가 포함된 스미싱 문자가 많아졌습니다.

     

    📌절대 클릭하면 안 되는 문자 유형 :

    ▪️“[Web발신] 후보 영상 보기 👉 http://bit.ly...

    ▪️“투표하면 모바일 상품권 증정”

    ▪️“후보 지원금 신청 접수 중!”

     

    🔍클릭 전에 ‘보호나라’ 카카오톡 채널을 이용해 URL의 안전 여부를 무료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ISA 보호나라&KrCERT/CC

    KISA 보호나라&KrCERT/CC

    www.boho.or.kr

     

     

     

    🧾 이런 경우엔 꼭 신고하세요

    불법 스팸 전화/문자 신고

    선거 문자 전화 차단 방법(거부, 신고 가능)

    ▪️국번 없이 118

    ▪️불법스팸대응센터(https://spam.kisa.or.kr)

     

    특히 후보를 사칭하거나 출처 불분명한 문자는 스미싱 가능성이 높으니 꼭 신고해 주세요.

     

     

     

    💬 자주 묻는 질문 (Q&A)

    선거 문자 전화 차단 방법(거부, 신고 가능)

    Q. 후보자 문자도 신고 가능한가요?

    A. 법에서 허용된 범위 내라면 어렵지만, 수신 거부 요청 후에도 반복되는 경우는 신고할 수 있습니다.

     

    Q. 문자에 있는 수신거부 번호는 믿어도 되나요?

    A. 후보자 홍보 문자는 ‘수신거부’ 회신으로 정식 거부가 가능합니다. 단, 스미싱 문자라면 회신하지 말고 신고만 하세요.

     

    Q. 스팸 앱이 어렵게 느껴지는데 꼭 써야 하나요?

    A. 설치만 해두면 알아서 차단해주는 앱입니다. ‘후후’, ‘에이닷(구 T전화)’, ‘Whoscall’ 중 하나만 설치해도 절반 이상 해결됩니다.

     

     

     

    ✅ 지금 바로 실천 가능한 5가지

    1️⃣스팸 차단 앱(후후, T전화, 후스콜) 설치

    2️⃣문자 차단 문구 등록

    3️⃣여론조사 전화 거부 신청

    4️⃣두낫콜 서비스 등록

    5️⃣보호나라 카카오톡 채널 추가

     

     

     

    🧩 마무리 정리

    선거철 문자·전화는 법적으로 허용된 홍보 수단이지만 설정 몇 가지만으로도 충분히 줄일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와 스마트폰 설정이 핵심입니다. 지금 10분만 투자하면 선거 기간 동안 불필요한 전화와 문자에서 해방될 수 있습니다.

     

     

    선거 문자 전화 차단 방법(거부, 신고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