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말라리아 예방과 치료 방법

히어로총집합 2024. 7. 26. 20:28

목차



    반응형

    감염병 정보

     

    질병관리청(https://www.kdca.go.kr) 해외감염정보를 통해 말라리아 등 감염병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예방 접종

     

    말라리아 예방을 위해 의료기관 방문 후 전문의와 상담 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활열예방접종, 콜레라예방접종 등과 같이 예방접종이 아닌 복용약 처방을 통해 말라리아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예방 복용약

     

    말라리아 예방약은 전문의약품으로 반드시 의사 처방 후 복용하여야 합니다. 🔍메플로퀸이나 🔍클로로퀸의 경우, 말라리아 유행지역 여행 1~2주 전에 복용하고, 🔍독시사이클린, 🔍아토바쿠온/프로구아닐과 프리마퀸의 경우, 여행 1~2일 전에 복용합니다. 예방약은 여행지에서도 계속 복용하며, 여행지역을 벗어난 후에도 4주간(클로로퀸, 독시사이클린, 메플로퀸) 또는 7일간(아토바쿠온/프로구아닐) 복용해야 합니다.

     

     

     

    치료 방법

     

    말라리아에 감염될 경우, 심하면 사망 할 수 있습니다. 말라리아 위험지역 여행 중 혹은 여행 후(1년까지) 열이 나거나 독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종합병원(감염내과)에 내원하여 해외 여행력을 말한 후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말라리아 치료용 희귀의약품은 국립중앙의료원에서 보관 및 관리하고 있으며 말라리아 환자를 진단한 의료기관에 치료약을 무상 배부하고 있습니다.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여행, 군 복무 후 의심 증상(오한, 고열, 발한이 48시간 주기로 반복하며 두통, 구토, 설사 등 동반) 발생 시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받습니다.

     

     

     

    예방 수칙

     

    ▷ 국내에서는 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4월부터 10월까지 야간(일몰 직후 ~일출 직전)에는 야외 활동을 가능한 자제합니다.

    야간 외출 시에는 밝은 긴 소매, 긴 바지를 착용하고, 얼굴 주변을 피해 모기 기피제를 뿌려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개인 예방법 실천합니다.

    옥내의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의 정비 및 모기장 사용을 권고하고, 실내 살충제를 적절히 사용합니다.

    말라리아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입니다. 예방 수칙 참고하시어 건겅 유의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반응형